ART SHOP

파란 마음이 피운 바깥의 초록

작가

우혜승

작가의 방 가기
장르 서양화,소품
제작연도 2025
재료 및 기법 Mixed media on Canvas
크기 200*200
작품설명 <파란 마음이 피운 바깥의 초록>은 푸른 심장을 동화적으로 풀어낸 작품입니다. 푸른 심장은 파란색 하트, 파란 마음으로 치환되어 이야기를 이어갑니다. 항아리의 표면에는 새가 형상화되어 있으며, 그 가슴에는 푸른 심장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항아리 안에 담긴 새는 갇혀 있는 존재가 아니라, 심장을 통해 여전히 자유롭고 평안하게 살아 있음을 보여줍니다. 파란 심장은 흐드러지게 흘러내린 식물과 연결되어 생명력이 끊임없이 확장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작품은 비록 어딘가에 갇힌 듯 보일지라도 파란 마음을 간직한 내가, 그리고 우리가 빛을 잃지 않고 숨 쉬고 있음을, 희망을 피워 세상과 연결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해시태그 #정물 #자연 #동물
배송비 무료
배송방법 택배배송
액자 액자 포함
판매가격 120,000

작품 및 미리보기 이미지를 무단 사용시
저작권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우혜승, <파란 마음이 피운 바깥의 초록>, 2025, Mixed media on Canvas, 20x20cm

작가소개

우혜승작가

서양화,소품

내면의 불안과 치유, 일상의 안온함을 주제로 도예, 드로잉 작업을 하고 있다. 현대 사회에서 ‘불안’이라는 단어는 어느새 일상 용어가 되어버렸다. ‘불안을 잘 다루는 법’, ‘마음 치유’를 다룬 각종 콘텐츠가 쏟아져 나왔고 누구나 한 번쯤은 이를 접했을 것이다. 각자 어떠한 계기로, 무의식에 켜켜이 쌓인 불안을 마주하게 된다. 나의 경우 어린 시절 ‘심장 부정맥’으로 인해 존재에 대한 불안함, 무기력함, 우울을 겪었다. 그리고 내면을 작업으로 풀어내는 과정에서 안정을 찾아갔다.

사라지고 싶은, 사라져 버릴 것 같은 존재가 흙판에 남겨져 높은 온도를 견디고 나면 영원히 존재하는 무엇이 된다는 사실, 화려하고 사람들의 눈길을 끌지 않아도 그 존재는 없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깨달을 때 즈음, 비로소 나는 불확실하고 예측되지 않는 삶 속에서 나의 존재를 긍정할 수 있었다. 이 과정은 마치 내면을 가리고 있던 막이 벗겨지며 어두웠던 삶에 빛이 들어오는 듯한 경험이었다. 오랜만에 느껴보는 따뜻함이었다. 이는 절대자와의 만남이자, ‘나’와의 화해였다.

《영원을 꿈꾸며》 연작에서는 이러한 경험을 얼굴과 신체를 가리고 있는 천의 이미지로 나타냈으며 점차 천이 걷히는 모습을 표현하였다. 이 시리즈는 베개를 베고 누워있는 인체를 시작으로 턱을 괴고 불어오는 바람을 느끼는 반신상, 따뜻한 품에 안긴 듯한 형상의 조형으로 이어지며 내면 탐구의 여정을 그린다.
나의 심장은 창백한 푸른색일 것 같다는 상상에서 시작된 《푸른 심장》 연작은 더 이상 고통과 아픔이 아닌 새로운 가능성을 담는다. 심장에서 꽃이 피어나는 이미지, 배에 실려 항해하는 이미지로 초현실적 세계를 표현한다. 또한 푸른 심장을 모티브로 한 화병, 그릇을 등장시켜 일상의 이야기로 확장하고 있다.

이렇듯, 현재는 존재의 안전함과 일상의 안온함을 주제로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화려하지 않지만 그 자체로 의미 있는 존재들로 보는 이들에게 고요한 위로와 일상 속 평화를 전하고자 한다.

I create ceramic and drawing works, with a focus on exploring inner anxiety, healing, and the calm of daily life. As a child, I experienced a deep sense of existential anxiety, powerlessness, and depression, brought on by heart arrhythmia. Over time, in the process of expressing my inner anxiety through my artistic practice, I gradually came to feel a sense of stability.

I came to realize something important. A being, gripped by the desire to disappear and feeling as though it might vanish at any moment, can still leave its trace on a slab of clay, endure intense heat during firing, and remain as a lasting presence. I also realize that even if something doesn't stand out or draw attention from others, its presence remains undiminished. I was finally able to embrace my own existence within an uncertain and unpredictable life. The experience was like a veil that had covered my inner self being lifted, allowing light to enter a life once cast in shadow.

The Dreaming of Eternity series depicted this experience using the image of fabric covering the face and body, portraying the cloth gradually being drawn back. Starting with a lying figure resting its head on a pillow, the series moves through a bust posed with its chin resting on one hand, as if feeling a breeze, and arrives at sculptural forms evoking the warmth of an embrace. Through these forms, it traces a contemplative journey into the self. The Blue Heart series, born from the imagination that my heart could be pale blue, no longer carries pain or suffering, but instead embraces new potential. With images of a flower blooming from the heart and the heart set adrift on a boat, the works evoke a surreal realm. It also extends into narratives of everyday life through vessels that adopt the blue heart
as their motif.

Through modest yet meaningful beings, I seek to convey quiet solace and a sense of everyday serenity to viewers who engage with these works.

CV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도예과 석사 졸업

개인전) 2020 영원한 순간의 기록(The Entirety of Momentary Records), 차품집, 서울, 한국
2025 Six Sense 여섯번째 감각, 김정숙 갤러리, 인천, 한국
2025 세상에서 가장 작은 아트페어 아트이펙트, 3회 참여(M 갤러리, 고마루 갤러리, 아트홀 청청)
2025 기획전 <달팽이 레이스: 점, 선, 색으로 쌓인 느린시간>, 갤러리 마롱, 서울, 한국
2022 천 개의 빛이 되다, 양구백자박물관, 양구, 한국
2021 Young Artist 작가공모 선정 <Young Artist ProjectⅡ> Lydia Gallery, 서울, 한국
2019 아시아 현대 도예전, 중국미술학원 민예박물관, 항저우, 중국
2019 Missing Link,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 서울, 한국
2018 아시아 현대 도예전,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 서울, 한국
2018 3℃, 경희대학교 A&D 갤러리, 수원, 한국
2016 Platform C, 과학기술대학교 100주년 기념관, 서울, 한국
2015 態展, KCDF 갤러리, 서울, 한국
2015 Cross Over 展, 밀알미술관, 서울, 한국

2020 <제56회 경기공예·디자인대전>, 입선
2015 <대한민국 도예 공모전> 입선

M.F.A. in Ceramics, Graduate School,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Solo) 2020 <The Entirety of Momentary Records>, Chapoomjip,
Seoul, Korea
2025 <Six Sense>, Kim Jeong Sook Gallery, Incheon, Korea
2025 <The Smallest Art Fair in the World: Art Effect>, participated
3 times (M Gallery, Gomaru Gallery, Gallery Cheongcheong)
2025 Curated Exhibition <Snail Race: Slow Time Built with Dots,
Lines, and Colors>, Gallery Marron, Seoul, Korea
2022 <Yanggu white clay, become a thousand lights>, Yanggu
White Porcelain Museum, Yanggu, Korea
2021 Selected for Young Artist Open Call <Young Artist ProjectⅡ>,
Lydia Gallery, Seoul, Korea
2019 <Contemporary Ceramic Art in Asia>, Museum of Folk Arts,
China Academy of Art, Hangzhou, China
2018 <Contemporary Ceramic Art in Asia>, Hongik University
Museum of Art, Seoul, Korea
2020 Selected, The 56th Gyeonggi Craft & Design Competition
2015 Selected, Korea Ceramic Competition

구매 및 배송안내
  • 마음에 드는 작품을 선택하세요.

  • 구매하기를 눌러 배송정보를 입력하세요.

  • 카드결제 또는 무통장입금으로 결제해 주세요.

  • 그림의 검수 및 포장 후 구매자님께 배송됩니다. (5~10영업일)

교환 및 환불규정
  • 상품 특성상 추가 재고가 없기 때문에 교환이 불가하며, 아래 사항에 해당하는 경우 7영업일 이내 환불이 가능합니다.
  • 실제 작품의 내용이 표기된 내용과 상이한 경우- 배송중 파손되었을 경우
  • 위작 또는 명시되지 않은 모작의 경우
작품 문의
작품 문의
  • 제목
  • 내용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