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르 | 한국화 |
---|---|
제작연도 | 2024 |
재료 및 기법 | 견에 채색 |
크기 | 52.5*45 |
작품설명 | 해가 지기 시작할 무렵 아파트의 단면에 물든 빛을 프레임의 담고 싶었다. '견'이라는 소재가 주는 반투명함은 빛이 투과되어 들어오는 느낌을 선명하게 해주었다. 작품의 반투명함을 그대로 보여주고 싶어 뒤에 마감은 따로 하지 않았다. 작품이 걸리는 공간에 따라서 그림의 느낌도 달라진다. 작품이 존재하는 공간과 작품 속 공간의 경계가 모호해지기를 바란다. |
해시태그 | #동양화 #빛 #단면 #견 |
배송비 | 무료 |
배송방법 | 전문업체배송 |
액자 | 액자 미포함 |
판매가격 | ₩600,000 |
ART SHOP
작품 및 미리보기 이미지를 무단 사용시
저작권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견의 특성상 습하지 않은 곳에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작가소개

김민지작가
한국화
일상에서 발견할 수 있는 단면에 드리워진 빛이나 어떤 사물에 흡수되고 반사된 빛에 관심을 가져 왔다. 2021년부터 최근까지는 평소 주변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아파트의 단면과 석양빛이 특정한 시간대에 다르게 다가오는 경험을 토대로 프레임 안에 그 순간을 재구성하고 있다.
어렸을 적부터 왜인지 해 질 무렵 석양의 빛깔에 매료되었다. 2021년 1월, 어느 날 평소처럼 일과를 마치고 집으로 돌아가던 길 고개를 들어 위를 바라봤다. 그때 마치 시간이 멈춘 듯한 정적인 빛을 마주하였고, 그 빛은 아파트 단면에 비친 것이었다.
작업은 석양빛이 아파트 단면과 만나 외형을 가지게 되었다는 가정에서 시작된다. 그 장면을 마주한 짧은 시간 동안, 수많은 생각들이 잠시 멈추는 듯 했고, 단지 하늘에 드리워진 석양빛에서는 느낄 수 없었던 감각들이 선명해졌다.
아파트의 단면은 계절적으로 시간의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 오후 4시부터 늦으면 오후 7시까지의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다른 모습을 보인다. 이러한 빛의 미묘한 변화를 바라보면서 미세한 떨림을 느끼게 되었고 이는 작업의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아파트 단면에 담긴 빛을 작업에 담아냄으로써 과거의 순간을 현재에도 다시금 떠올릴 수 있었으면 하는 마음이다.
찰나의 발견한 석양빛이 주는 그 순간의 감정과 경험을 재구성하고자 하였기에 작업 과정에서는 그때의 감정을 다시 상기시키며 그 감정이 사라지기 전에 빠르게 그려낸다. 단순히 사실적인 재현과 묘사보다는 그 상황 속에서 감정의 동요를 일으킨 요소들을 가져와 작업에 녹여내고자 하는 태도를 가지기 위해 고민한다. 투과성을 가진 견을 바탕으로 그림을 중첩하며 빛의 움직임을 표현하기도 하며, 전통적인 동양화 재료인 견을 활용하여 다양한 실험을 하며 작업하고 있다.
<Solo Exhibitions>
2025 시제가 없어지는 순간, JUNSIJANG, 서울
2022 바라보다, 갤러리 밈, 서울
<Group Exhibitions>
2023 시차, Buronzugallery, 브뤼셀, 벨기에
2023 Shanghai International Art Fair, 상하이, 중국
2023 EVER-CONNECTED, 갤러리 라메르, 서울
2023 MZ x 뉴미디어 아트페어, 인사센트럴뮤지엄, 서울
2023 EUMC Fair 볕뉘, 이대서울병원, 서울
2023 그라운딩 스터디, 갤러리 라메르, 서울
2022 점, 선, 면 : 일상, 감정, 형상, 이화아트파빌리온, 서울
2021 나의 보통의 하루, 무목적 갤러리, 서울
2017 작은 그림전, 이화익 갤러리, 서울
구매 및 배송안내
마음에 드는 작품을 선택하세요.
구매하기를 눌러 배송정보를 입력하세요.
카드결제 또는 무통장입금으로 결제해 주세요.
그림의 검수 및 포장 후 구매자님께 배송됩니다. (5~10영업일)
교환 및 환불규정
- 상품 특성상 추가 재고가 없기 때문에 교환이 불가하며, 아래 사항에 해당하는 경우 7영업일 이내 환불이 가능합니다.
- 실제 작품의 내용이 표기된 내용과 상이한 경우- 배송중 파손되었을 경우
- 위작 또는 명시되지 않은 모작의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