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ST ROOM

김은정B작가

평면

안녕하세요. 한국화 작가로 활동하는 김은정입니다. 저는 2010년부터 한국화, 그 중에서도 궁중회화, 진채에 초점을 맞춰 제작 기법연구를 진행해왔습니다. 20대에는 내 이야기를 작품에 풀어내기에 스스로 시기상조라고 판단하여 옛 그림 모사를 통한 완벽한 기술 습득만을 고집했습니다. 지루할 수 있는 시간이었지만, 어느 때에는 전통회화를 이어간다는 사명감에, 어느 때에는 단순히 먹선을 긋는 그 행위의 즐거움에 빠져 작업을 이어 나갈 수 있었습니다. 그렇게 10년이라는 시간을 지나 서른살이 되어서야 제 이야기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저는 상실과 생명이라는 주제로 자연을 다루기 위해 나에게 익숙한 <동궐도(東闕圖)> 기법을 차용했습니다. 동궐도의 풍경을 오려 붙이듯 재구성하여 또 하나의 공간을 만들어내는 것에 초점을 맞춰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하나의 시점을 여러 차원으로 분리하여 만든 공간들은 의도한 화면이었지만 어느 순간 저에게는 저절로 본연의 형태를 찾아가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합니다. 우리는 모두 ‘사회화’라는 명분으로 ‘도시화’에 강제 적응 기간을 거쳤습니다. 도시에서 인간에게 유익하다고 규정한 것들에는 늘 인류애의 상실과 함께 자연의 상실이 동반됩니다. 어쩌면 인간은 도시 안에서 상실이라는 목적을 달성하고자 더 많이 벌고 더 많이 쓰는 소모적인 삶을 살아가고 있는 건 아닐런지요. 도시화, 기계, 문명, 그런 것들이 갖춰져 있지 않더라도 이미 우리의 삶은 완성되어 있었습니다. 새것을 입고 먹고 쓰며 물질적으로 부족하지 않은 삶을 영위하고 있지만, 나의 영혼은 여전히 어린시절 시골집 밤나무 아래에 머물러 있는 듯 합니다.

안녕하세요. 한국화 작가로 활동하는 김은정입니다.
저는 2010년부터 한국화, 그 중에서도 궁중회화, 진채에 초점을 맞춰 제작 기법연구를 진행해왔습니다. 20대에는 내 이야기를 작품에 풀어내기에 스스로 시기상조라고 판단하여 옛 그림 모사를 통한 완벽한 기술 습득만을 고집했습니다. 지루할 수 있는 시간이었지만, 어느 때에는 전통회화를 이어간다는 사명감에, 어느 때에는 단순히 먹선을 긋는 그 행위의 즐거움에 빠져 작업을 이어 나갈 수 있었습니다. 그렇게 10년이라는 시간을 지나 서른살이 되어서야 제 이야기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저는 상실과 생명이라는 주제로 자연을 다루기 위해 나에게 익숙한 <동궐도(東闕圖)> 기법을 차용했습니다. 동궐도의 풍경을 오려 붙이듯 재구성하여 또 하나의 공간을 만들어내는 것에 초점을 맞춰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하나의 시점을 여러 차원으로 분리하여 만든 공간들은 의도한 화면이었지만 어느 순간 저에게는 저절로 본연의 형태를 찾아가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합니다.

우리는 모두 ‘사회화’라는 명분으로 ‘도시화’에 강제 적응 기간을 거쳤습니다. 도시에서 인간에게 유익하다고 규정한 것들에는 늘 인류애의 상실과 함께 자연의 상실이 동반됩니다. 어쩌면 인간은 도시 안에서 상실이라는 목적을 달성하고자 더 많이 벌고 더 많이 쓰는 소모적인 삶을 살아가고 있는 건 아닐런지요. 도시화, 기계, 문명, 그런 것들이 갖춰져 있지 않더라도 이미 우리의 삶은 완성되어 있었습니다. 새것을 입고 먹고 쓰며 물질적으로 부족하지 않은 삶을 영위하고 있지만, 나의 영혼은 여전히 어린시절 시골집 밤나무 아래에 머물러 있는 듯 합니다.


개인전
2022 정제된 자유, 인영갤러리(서울)
2020 느린호흡_산사경(山寺景), 갤러리 한옥(서울)

단체전
2023 이고의 방, 아트스페이스이고(수원)
2023 아시아프,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서울)
2023 일척필도 천리행보, 서울국가무형문화재 전수회관(서울)
2023 미시감, 갤러리컬러비트(서울)
2022 화사한 날, 마루아트센터(서울)
2021 김용우와 화원들, 서울국가무형문화재 전수회관(서울)
2021 화원, 모리스갤러리(대전)
2021 서울의 풍경, 갤러리 한옥(서울)
2021 세화전, 괜찮-소?!, 갤러리 이즈(서울)
2020 도화서 화원들의 B급 전시, 인사아트센터(서울)
2020 붓끝으로 전통을 말하다, 갤러리 이즈(서울)
2019 전통의 향연, 서울국가무형문화재 전수회관(서울)
2018 겨울선물, 지금 여기 우리, 갤러리 한옥(서울)
2017 경복궁을 기록하다, 국립고궁박물관(서울)
2017 흐리고 느린, 불일미술관(서울)
2017 멀티파세티드, 서초여성가족프라자(서울)
2017 제2회 뉴드로잉프로젝트, 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양주)
2016 조선 궁궐을 거닐다, 필리핀 한국문화원(보니파시오)
2016 창경궁을 보듬다, 국립고궁박물관(서울)
2015 궁중문화축전, 덕수궁 석조전(서울)
2015 덕수궁을 기억하다, 갤러리 한옥(서울)
2014 창덕궁을 깨우다, 갤러리 한옥(서울)
2013 제 32회 대한민국미술대전, 아트센터 블루(서울)

수상
2019 갤러리 한옥 불화·민화 공모전 우수상
2018 갤러리 한옥 청년작가 공모전 특선
2017 제2회 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 뉴드로잉 프로젝트 입선
2013 제32회 대한민국미술대전 공예부분 입선

작품소장처
국립무형유산원, 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