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란작가
히든아티스트
유년의 상처를 주제로 작업해오고 있다. 어린 시절 겪은 가정폭력으로 인한 트라우마가 작업의 동기이다. 이를 위해 두 가지 방법을 쓰는데 그 하나는 아동화적 경향의 드로잉을 하는 것이다. 다시 아이가 되어 봄으로써 내 유년시절의 기억을 조작하는 것이다. 불행했던 유년을 행복함으로 치환하는 것이다. 그림 속에 아이의 유토피아를 구현해 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상처받은 마음을 치유한다. 두 번째는 낙서적드로잉이다. 이는 추상표현주의와도 많은 관련이 있다. 어린 시절 겪은 폭력의 공포에서 나는 늘 떨고 있었고 트집을 잡히지 않기 위해 늘 몸사리고 눈치 보며 살았다. 그런데 낙서하는 순간은 어떤가. 낙서 잘못했다고 감시당하거나 혼나는 일이 없다. 나에게 있어서 낙서는 억압에 대한 자유에의 의지이다. 낙서하는 순간은 정말 자유롭다. 표현주의적 작업을 하는데 있어서 3,4살 아이들의 낙서에서 영감을 받아 작업하기도 한다. 아이들의 낙서적 드로잉을 보라. 얼마나 자유로운지. 아이들의 선과 색채를 보면 놀랄 만큼 자연스럽고 에너지가 넘치고, 신선하다. 똑같이 그리려 하지도 않고 완성에의 집착도 없다. 낙서 같은 선들, 자유분방한 색칠, 넘치는 에너지를 그림에 담고 싶다. 잘 그리기 보다는 재밌는 세계를 담고 싶다. 최근 낙서적 붓질을 하는데 100호에 액션페인팅식의로 힘차게 붓질을 하면 카타르시스마저 느껴진다. 격렬한 붓질은 어린 시절 받은 신체적 정서적 학대에 대한 통렬한 복수랄까. 한마디로 비폭력적인 나만의 복수이고 이를 통해 내 내면의 한을 발산시킴으로써 유년의 트라우마를 치유하는 것이다. 추상표현주의의 브러시 스트로크나 붓터치를 통해 억압되어 있던 슬픔과 분노를 표현한다. 표현주의적 경향(낙서적 경향)은 억압하는 이들에 대한 저항정신이다. 이러한 저항을 통해 자유에의 의지를 담고 있다. 구상적 작업에서 추상으로 가고 있는 중인데 추상 작업 속에서 더 많은 형태들과 의미를 발견한다. 추상표현주의는 주로 사이 톰블리나 조안 미첼 등에게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림 속에 글자를 조형적 언어로 사용하기도 하는데 영어 대신에 한시를 한지에 써서 꼴라주해 보았다. 그 외에 색동저고리나 민화, 신라나 백제의 기와 문양, 옛날 베개의 자수문양 등을 차용해서 추상표현주의와 결합시키기도 한다. 구불구불한 선들은 상모돌리기의 형태와 맞물린다. 추상표현주의의 자유로운 표현에 우리 것을 결합시켰다. 추상표현주의의 서양적인 면과 한시나 색동, 민화와의 동양적인 면의 결합이 신선한 느낌을 준다. 지금까지 나는 전시 제목이 유년의 뜰이었다. 어린 시절 우리 집에는 자그마한 뜰이 있었는데 라일락나무가 있었다. 새소리도 들렸다. 5월이면 라일락 향기로 뜰이 화사해졌다. 극악한 유년에도 나에게 라일락이 있는 뜰은 위안이었다. 누구나 유년을 지나왔고 성인이 되었다. 행복한 유년이든 불행한 유년이든 마음 속 어딘가에 자기만의 유년의 뜰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행복했던 이는 행복함을 기억하기를 불행했던 이들은 나의 유년의 뜰에서 마음의 위안내지는 카타르시스를 느끼기를 바란다. 뜰에는 바람이 살랑 불고 새가 지저귀고 라일락이 피어 보라색 향기를 가득 흩날리고 있을 것이다.